선형 회귀분석 - 3. 모형의 적절성

제3장 모형의 적절성

- 3.1 서론

- 3.2 잔차 그림

- 3.3 표준화 잔차

- 3.4 적합결여검정

적합결여검정의 경우 SSLF(적합결여로 인한 제곱합)이 SSPE(순수오차로 인한 제곱합)에 비해 많이 큰지를 보는 것이 기본 개념이라고 쓰여 있다.

SSLF는 추정값과 평균 간의 차이로 인한 제곱합을 말하고, SSPE는 자연 발생하여 통제 불능인 오차(즉 반응변수와 평균 사이의 차이)로 인한 제곱합을 말하는데, SSLF가 SSPE보다 많이 크다면 모형이 반응 변수들의 분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이해했음) 왜냐하면, 모형의 추정값과 평균 간의 차이의 제곱합이 반응변수와 평균 사이의 차이의 제곱합보다 더 크려면 모형이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형태여야 하니까!

어쨌거나 F 통계량을 살펴보면, SSLF가 커지게 될 경우 F 통계량의 분자 또한 커지게 되어 모형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H0을 기각하게 된다.

공부하면서 이 부분이 헷갈렸어서 보충 설명 좀 함

'공부 > 통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 회귀분석 - 2. 단순선형회귀  (0) 2025.01.24